경관이 수려한 송악산 일대에 중국 자본에 의해 대규모 관광개발 사업이 진행되면서 환경훼손 논란이 재차 불거질 조짐이다. 중국에 본사를 둔 유한회사가 송악산 일대에 5500여원을 들여 2017년까지 호텔과 콘도 등 대규모 숙박시설을 건립키로 해 새해벽두부터 대정읍 등 지역사회가 들썩이고 있다. 송악산 유원지 지구는 1990년대 말 개발사업 시행승인이 났다가 승인 취소된 이후 10년 넘도록 투자가 이뤄지지 않다가, 최근 중국자본에게 경매로 매각됐다.

 송악산 유원지 개발이 윤곽을 드러내면서 관광개발에 따른 환경훼손 우려의 목소리도 서서히 높아지고 있다. 10여 년 전에도 송악산 개발을 둘러싸고 사업자와 환경단체, 행정기관 등이 환경과 경관훼손 여부로 첨예하게 맞서면서 도민사회가 술렁인 바 있다. 당시 대정읍에는 송악산 개발과 더불어 우주센터 유치사업도 거론되면서 지역사회가 찬반논란에 휩싸였으나, 두 가지 사업 모두 물거품이 되면서 지금까지 후유증이 이어지고 있다.

 송악산 개발에 따른 논란의 핵심은 먼저 환경훼손 여부다. 환경단체에서는 사업부지에 오름지대 일부가 포함된 데다, 공사가 진행되면 가뜩이나 지반이 약한 진지동굴을 포함해 자칫 송악산 절벽이 무너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또 다른 논란요인은 경관훼손 여부. 제주올레 코스에 포함된 해안관광 명소에 고층 건축물이 건립되면 주변경관이 망가질 것이란 우려가 높다. 지역주민들은 대규모 관광개발 건립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주민 고용채용 등을 기대하는 편이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자칫 성급한 사업추진으로 짓다 만 건축물이 장기 방치되는 사례가 발생치 않을까 전전긍긍하고 있다.

 최근 막대한 중국자본이 속속 제주에 유입되면서 자본의 성격이 투자인지 투기인지 여부에 대해 도민들에 확신을 심어주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이런 시점에서 세계적으로 희귀한 자연자원인 송악산 일대가 비록 중국자본에 매각되더라도, 자원가치가 훼손되는 사례는 결코 있어서는 안 된다. 무엇보다 행정에서도 사업자 편이 아닌 ‘선보전 후개발’ 원칙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과거의 논란을 거울삼아, 송악산에 환경 친화적인 관광개발이 이뤄지도록 도민들의 지혜와 슬기가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