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달 1일 우근민 도지사 당선인의 취임을 앞둬 행정시장 임용에 따른 공개모집 절차가 25일까지 이뤄지면서 행정시장의 최종 낙점여부가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번 6․2 지방선거에서는 지난 선거와 달리 각 후보들이 ‘러닝메이트’ 형식의 행정시장을 사전에 내정하지 않았기에 더욱 관심이 쏠리고 있다. 벌써부터 일부 언론에서는 행정시장 후보에 대한 하마평이 꾸준히 오르내리고 있다.
무엇보다 우근민 당선인이 6․2 지방선거에서 자치권 있는 기초자치단체의 부활을 핵심 공약으로 내세운 점에서 행정시장의 향후 위상에 대해서도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 당선인 스스로가 선거운동 과정에서 임기 중 행정시장에게 각종 권한을 대폭 이양할 뜻을 내비쳤다. 이를 뒷받침하듯 최근 도지사직 인수위원회에서도 기초자치권 부활을 도정의 주요 현안으로 제시한바 있다.
이 같은 흐름이라면 우 당선인이 취임한 이후 이번에 공모절차를 거쳐 임용되는 행정시장이 마지막 행정시장이 될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기초자치단체 부활이란 핵심 공약을 임기 중 실현하기 위해 시장 직선제가 재차 도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별자치도 출범을 계기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생겨난 행정시장 제도가 조기에 퇴출될 운명에 처한 셈이다.
그동안 예산권․ 인사권 없이 제왕적 도지사가 임용하는 형식의 행정시장에 대한 문제점은 본란에서 수시로 제기한 바 있다. 행정 효율을 명목으로 서귀포시에 ‘파견’된 행정시장은 지역 민원을 챙기기보다 인사권자 눈치를 살피느라 소신껏 행정을 추진할 수 없었다. 과거에 누렸던 예산권이나 인사권도 도청에 빼앗겨 ‘허수아비 시장’이란 혹평마저 나돌았다.
이번 지방선거를 계기로 행정시장이 퇴출되고 시장 직선제가 부활되는데 대해서는 전적으로 공감을 표한다. 우 당선인측은 기초자치의회 부활여부에 대해서는 분명한 반대 입장을 보였지만, 일단 시장 직선제 도입만이라도 이른 시간에 성사가 되길 기대한다. 서귀포시가 경제에 이어 정치면에서도 갈수록 변방으로 전락하고 있는 시점이기에 더욱 절실하다.
다만 최근 행정시장 공모과정에서 후보로 거론되는 인사들이 지방 선거과정에서 선거캠프에 참여한 인사들이 대다수여서 한 가닥 걱정도 생겨난다. 비록 시한부 성격의 행정시장 직이라 해도 새로운 도정의 첫 출발 단계에서 정치성향 높은 행정시장이 임용된다면 도민 대통합 측면에서도 바람직스럽지 않다. 우 당선인 측의 현명한 결단 여부에 주목되는 이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