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도 공무원 정기인사가 지난 주 단행되면서 대폭적인 자리 이동으로 공직사회에도 ‘신구간’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인사는 잘 해야 본전’이란 말이 있듯이 민선 5기 우근민 도정 취임 이후 두 번째로 단행한 이번 정기인사 결과를 놓고서도 뒷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인사 직후 도청과 제주시 공무원 노조가 제각각 성명을 내고, 공직사회의 근간을 뒤흔드는 원칙 없는 인사라고 맹비난에 나섰다. 제 식구 감싸기가 여전한 탓에 이른바 ‘연줄’과 ‘빽’이 없으면 요직 등용은 불가하다는 비판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민선 5기 도정 출범 초기부터 인사 문제는 단지 공직사회의 문제를 벗어나 도민사회의 최대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지난 연말 도내 각 언론사에서 실시한, 민선 5기 출범이후의 성과를 묻는 여론조사나 토론회 등에서 인사 문제는 줄곧 쟁점으로 떠올랐다.
대부분의 여론조사나 토론회에서 우 도정 출범 이후 최대의 잘못한 사례로, 불공정한 인사를 누차에 걸쳐 제기한 바 있다. 전직 도지사 측근을 변방에 보내고, 제 식구를 측근에 챙기는 구태의연한 인사행태가 도민화합과 도정발전에 최대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빗발쳤다.
이에 우근민 지사는 인사 직후 기자회견을 통해 (전임 도정 당시) 변방에 나간 측근을 다시 제 자리로 돌려놓았다는 식으로 해명에 나섰다. 이번 인사를 계기로 도지사가 바뀔 때마다 벌어지던 인사의 악순환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았으면 한다는 바람도 내비쳤다.
하지만 이처럼 어수선한 시점에 또 다시 제주도개발공사 사장 개방형 공모에서 우 지사의 측근이 사정에 낙점되면서 ‘정실인사’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민선 5기 출범 이후 환경부지사를 비롯해 행정시장, 주요 기관장의 공모 시 항간의 소문대로 우 지사의 측근들이 줄줄이 낙점되면서 무늬만 ‘공모제’라는 비판이 제기되는 이유다.
최근 제주 사회에는 전· 현직 도지사들이 전례 없이 도정의 주요 행사나 정책에 관여하며 모처럼 도민사회에 화합의 기운이 솟아나는 분위기다. 민선 5기 도정이 역점 추진하는 7대 자연경관 선정 투표 참여과정에서도 도내외에 걸쳐 각계각층이 솔선 참여함으로써 100만 제주도민의 저력을 유감없이 선보이고 있다.
이 같은 기회에 제주도가 ‘변방의 섬’을 벗어나 진정한 도민화합을 이루려면, 과거의 충성도에 연연하는 ‘정실 인사’에서 벗어나 미래의 화합’을 염두에 둔 ‘탕평 인사’를 서둘러 실천해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