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제주도지사 당선인이 내달 1일 도지사에 취임하면서 민선 6기 제주도정이 새롭게 가동된다. 서귀포시 출신 첫 민선 도시자가 될 원희룡 당선인은 비공무원 출신에다 역대 최고의 지지율, 최연소 연령으로 도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다. 중앙정계에서 국회의원 3선을 지낸 집권여당의 개혁파 선두주자로, 벌써부터 차기 대선의 유력 후보로 거론되고 있기도 하다.
원 당선인은 지방선거 과정부터 기존의 정치인과는 다른 선거운동과 정책공약을 선보이며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하향식 행정흐름에 익숙해 온 도민들에 ‘협치’란 개념의 민관 협력모델을 제시하며 권위주의 타파에 앞장서고 있다. 정치적 논란 속에도 선거당시 경쟁관계의 야당 후보를 새도정준비위원장으로 영입하는 깜짝 카드도 성사시켰다.
원 당선인의 파격적 행보는 민생 현장에까지 뻗치고 있다. 지방선거 이전에는 물론, 선거 이후에도 도내 마을 곳곳을 순회하며 민생탐방에 나섰다. 각 마을을 순회하며 지역현안을 파악한 뒤 저녁시간에는 각계각층 지역주민과 무제한 토론을 벌이며 지역발전과 현안해결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나눴다. 도지사 취임 이후에도 더 낮은 자세로 도지사 집무실보다는 마을과 현장을 수시로 방문하겠다는 약속과 다짐도 제시했다.
물론 원 당선인의 이런 행보를 두고 일각에서는 이미지 관리를 위한 정치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는 시선도 있다. 각계각층의 요구사항을 여과 없이 수용하느라 선거당시에 내건 정책공약 일부를 취임 이전부터 파기하는 사례마저 발생하고 있다. 그동안 ‘제왕적 도지사’의 막강한 권한에 길들여 온 도민들로서는 원 당선인의 그간의 행보에 대해 여전히 미심쩍은 눈초리를 보이고 있다. 도지사 취임 이후 과연 이러한 행보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의문을 품고 있기도 하다.
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기초자치권이 사라진 서귀포시 시민들은 그동안 ‘풀뿌리 민주주의’ 훼손으로 인해 오랜 기간 정치적 소외를 품어 왔다. 지역균형 발전과정에서 여전히 피해의식을 간직하면서도, 도지사는 물론 간부 공무원조차 한 번 만나기가 힘들었다. 그런 면에서 원 당선인의 민생현장 탐방에 대해서는 일부 오해의 소지도 있지만, 새로운 소통창구 가능성도 엿보이고 있다. 원 당선인도 시민들의 이러한 충심을 헤아려, 도지사 당선 이후에도 진정한 자세로 주민과의 대화노력을 지속할 수 있기를 당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