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 덧 1년을 맞았다. 승객 476명을 태운 세월호가 진도 앞바다에서 침몰하면서 승객 295명이 불귀의 객이 되고 말았다. 생존자는 불과 172명에 아직도 9명은 세월호와 함께 물속에 잠겨 있다.
 대한민국의 시계를 한 순간에 멈춰놓게 한 세월호 사건은 제주도와는 각별한 의미를 지닌다. 희생자 대다수가 제주도에서 수학여행의 단꿈을 꿈꾸던 10대 고교생들이란 점에서 가슴이 미어진다. 45년 전 발생한 남영호 침몰사고로 323명의 제주도민이 목숨을 잃었다.
 세월호 참사 1주년을 맞아 국민들의 안전 불감증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또다시 나오고 있다. 국민들의 '빨리빨리‘ 근성을 바로잡는 기회가 찾아왔으나, 뿌리 깊은 ‘냄비’ 근성에 어느덧 파묻히고 있다. 유족들을 중심으로 진상규명이 우선이라는 외침이 줄곧 제기되고 있지만, 정치권은 꽁무니를 빼기에만 급급하다.
 서귀포시 지역도 대형 안전사고 위험에 여전히 노출돼 있다. 최근 관광객 방문이 많은 돈내코 원앙폭포 앞에 거대한 바위가 떨어지는 아찔한 사고가 발생했다. 산방산과 용머리 해안 일대에서도 크고 작은 낙반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시민과 관광객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정방폭포 옛 ‘소라의 성’ 건물도 안전문제로 보수공사가 진행 중이다.
 최근 정방폭포에서는 4·3 사건으로 인한 대량학살 피해자들의 원혼을 달래고자 67년 만에 상생해원굿이 펼쳐졌다. 이번 행사를 계기로 4·3 의 아픔을 상생으로 승화하기 위한 교육이 강화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정방폭포 인근에는 지난해 말 남영호 위령탑이 새롭게 세워져, 학생들에게 역사와 안전의식을 고취시키는 산교육장도 될 수 있다.   
 서귀포시는 최근 대중교통· 쓰레기· 친절의식 개선 등 3대 혁신운동을 범시민 차원에서 펼치고 있다. 국내의 대표 관광지로서 관광질서 확립과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다. 물론 이러한 시민운동에 나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안전문제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도정 최우선을 안전문제에 두겠다는 ·1년 전 도지사의 약속이 공허한 메아리로 들리는 것은 무슨 이유에서일까.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