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지질공원 핵심마을 활성화 사업이 올해 말 종료되면서 사업성과를 높이려면 서둘러 후속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지역행복생활권 협력사업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사업이 올해 말 마감되면 추가 국비지원이 힘든 때문이다. 국비 지원과 사업계획 수립, 사업 착수 등이 전반적으로 지연되면서 지금까지 가시적인 사업성과가 미흡한 편이기에 지역주민들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지질공원 핵심마을 활성화사업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핵심마을에 선정된 제주지역 6개 마을이 사업 대상이다. 2013년 7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총사업비 35억7200만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이다. 전체 사업비 가운데 국비가 32억1400만원 포함된 데다, 제주시에 비해 서귀포시 지역에 사업비가 2배 정도 투입되면서 애초부터 ‘서귀포시를 위한 국비 지원사업’으로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사업은 사업추진의 첫 단추라 할 국비가 다소 늦게 지원되면서 연쇄적으로 사업추진이 지연되고 있다. 사업 종료를 불과 6개월 정도 앞둔 시점에서 성산리의 경우 최근에야 비로소 지질 트레일 코스개발 사업에 착수했다. 이러한 사정은 여타 5개 마을도 비슷한 편이어서, ‘지오’ 브랜드를 딴 숙박업소와 음식· 지질체험 등을 개발한 단계일 뿐, 아직 가시적 성과는 없는 편이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인데 벌써 사업을 종료할 수 있는가’라는 마을주민들의 볼멘소리도 새어나온다.
그간의 과정이야 어떠하든, 사업 마무리를 앞둔 시점에서 남은 기간 동안 사업성과를 최대한 높이려는 노력이 뒤따라야 한다. 국비 지원이 끊기는 순간 사업이 마감되는 ‘일회성’ 사업이란 오명을 또 다시 들어서는 안 된다. 이를 위해서는 마을과 행정, 사업 시행기관이 남은 기긴 동안 유기적 협업체계를 단단히 구축해야 한다. 그간의 사업추진 과정에서 지역주민 소득창출 가능성이 높은 사업을 선정해 선도 핵심사업으로 육성해야 한다. 아울러 국비 지원이 없어도 마을주민들 스스로 사업을 지속 추진할 수 있도록 제주의 6차 융복합 관광의 표준모델로 육성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