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에 들어서는 혁신도시가 제 모습을 갖춰가고 있는 가운데 입주예정 기관 중 하나인 재외동포재단이 제주 이전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는 등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어 시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혁신도시는 2005년 노무현 정부 때 결정됐다. 수도권 밀집을 지양하고 지방 경제를 활성화 시킨다는 취지에서 정책이 결정됐다. 이에따라 수도권 소재 154개 기관이 이전 기관으로 결정됐다.

혁신도시 계획이 가시화 되면서 전국의 지자체마다 규모가 큰 기관을 유치하기 위해 로비전이 치열하게 벌어졌다.

제주도에서는 서귀포시가 혁신도시 이전 도시로 선정됐다. 서귀포시 혁신도시에는 공무원연급공단, 국토교통인재개발원, 국립기상과학원, 한국정보화진흥원, 국세청  산하 국제공무원교육원·주류면허지원센터·고객반족센터, 한국국제교류재단, 재외동포재단 등 9개 기관이 이전 기관으로 결정됐다.

이에따라 지난 22일 공무원연금공단이, 27일에는 국세청 산하 3개 기관이 개청식을 갖고 공식 업무에 들어갔다. 이에 앞서 지난 2013년 국토교통인재개발원을 시작으로 국립기상과학원과 한국정보화진흥원 등이 이전을 마쳤다. 남은 기관은 한국국제교류재단과 재외동포재단 2곳 뿐인 상태다. 이들 두 기관만 이전을 완료하면 혁신도시는 계획 당시의 모습을 완전히 갖추게 된다.

그런데 최근 재외동포재단이 제주이전에 반대 의견을 내놓으면서 도민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

지난 8일 ‘2015 세계한인회장대회’에 참석했던 회장단이 재외동포재단의 제주이전을 반대한다는 공식 결의문을 채택하면서 한바탕 논란을 빚었다. 그런데다 지난 14일에는 새누리당 양창영 의원(비례대표)과 김성곤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이 재외동포재단 제주 이전 반대를 공개적으로 밝혀 제주도민들의 반발을 사고 있다.

반대 이유는 지역적으로 서울과 떨어져 있어 해외에서 들어오는 재외동포들이 항공기로 들어와 다시 서울에서 제주로 이동하는데 불편하다는 것이다.

도내 정치권은 "제주도가 나서서 지방비 투입에 의한 부지매입 등 정부가 해야 할 몫을 대신 감당해가며 추진하는 정부사업에 대해 뒤늦게 재차 이전 재검토를 요구하는 것은 지역균형발전정책을 거꾸로 돌리려는 무사 안일한 요구"라며 "양창영 의원과 김성곤 의원은 재외동포재단 제주이전 재검토에 대한 입장을 거두고, 제주도민과 서귀포시민에게 사과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여기에 공공기관 이전지연 시민공동대책위원회(위원장 홍명표 제주언론인 클럽 회장)는 28일 재외동포재단 제주이전을 촉구하는 탄원서를 제출할 예정이다.

시민대책위는 “서귀포혁신도시에 이전한 기관들은 지역사회에 대한 사회공헌은 물론 지역주민과 융합하려는 저극적인 자세로 주민들로부터 큰 박수와 호응을 받고 있다”라고 주장하면서 “하지만 10년이 지났지만 지금까지 이전하지 않은 재외동포재단은 오히려 제주를 변방으로 평가 절하하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서운함과 배신감, 그리고 정부에 대한 불신은 이루 말 할 수 없는 상황에 이르고 있다”고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우리는 이들의 입장이 재외동포재단으로부터 나온 것이 아닌가 하는 의혹을 갖고 있다. 재외동포들의 불편 보다는 재단 관계자들의 불편 때문에 제주이전에 이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제주이전과 함께 제주도민과 상상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재단측이 이전도 하기 전에 도민 사회와 갈등을 빚는 양상은 아무리 좋게 보려 해도 좋게 볼 수가 없다. 이런 의견이 있었다면 이전 기관이 결정되기 전에 의견을 내고 협의를 거쳐야 한다. 이전 계획 당시에는 별 의견을 내놓지 않고 있다가 마무리 단계에서 안된다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이와 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국정 불신도 불거질 수 있다. 국책사업으로 결정된 사업이 일개 재단에서 반발한다고 수용될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정부의 단호한 입장과 재외동포재단의 조속한 이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사안은 한국국제교류재단도 마찬가지다. 눈치를 보면서 이전을 뭉그적거릴 일은 아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