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시내 어느 성당에서의 중국인 관광객에 의한 기도중에 있던 여성 피습, 살해사건은 일어나서는 안 될 일이 발생했다는 점에서 도민들에게 큰 충격을 안겨 주었다. 더군다나 신성한 종교 시설 안에서 일어난 흉포한 사건이어서 그 충격파는 더욱 크다. 삼가 불의의 사고로 목숨을 잃은 고인의 명복을 비는 마음이다.
이와 같은 사건 발생의 배경은 우리 사회의 허술한 안전망이라는 점이 드러났다. 국민의 생명을 지켜내지 못하는 국가안전처를 신설하면 무슨 소용이며 사후약방문격으로 지방경찰청의 강력범죄 단속 강화 방침이 나오면 대수인가, 조소하는 도민들이 많은 까닭이다. 제주도는 물론 양 행정시의 안전관리 체계가 제대로 갖춰져 있지 못하고 그나마 마련된 시스템마저 부실한 매뉴얼로 인해 제대로 작동이 되지 않는다는 평이다.
특히 내도하는 외국인들에 의해 저질러지는 범죄는 날이 갈수록 기승을 부리고 흉포화하고 있다. 어쩌면 그 예방과 단속을 아예 손 놓고 있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마저 들 정도이다. 제주지방경찰청 자료에 의하면, 지난 8월까지 제주지역에서 발생한 외국인 범죄는 397건이라 한다. 지난해 같은 기간 257건에 비해 54.5% 급증한 수치이다. 범죄 유형만 보더라도 살인 1건, 강도 4건, 강간(강제추행) 6건, 절도 55건, 폭력 78건, 마약 3건, 도박 3건, 교통 129건 등 생명을 위협하는 사건들이 이어지고 있다. 연도별 외국인 범죄 발생은 2011년 121건, 2012년 164건, 2013년 299건, 2014년 333건, 2015년 393건 등 급증 추세이다. 이 가운데 중국인 범죄는 2011년 58건, 2012년 89건, 2013년 134건, 2014년 194건, 2015년 260건이고 올 들어서는 8월까지 279건으로 나타났다. 먼 곳의 일, 의외의 일이 아니라 오늘 제주에서 벌어지는 현실이다.
외국인에 의한 범죄 발생이 이미 이러한 상황이라면, 진즉 이에 대한 처방과 대책 마련, 시스템화가 필요했다. 사건이 일어나서야 현장을 찾는다, 긴급회의를 소집한다면서 설레발치는 도 당국을 비롯한 관계기관은 그동안 낮잠을 자고 있었던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물론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행정부서 공직자들을 비롯해 경찰과, 소방, 해양경찰은 물론 안전관리 민간요원들까지 수고를 아끼지 않고 있다는 점을 잘 안다. 하지만 무고한 도민의 생명이 처참하게 스러져간 현장소식을 목도하면서 그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무사증제도 시행 등 미비한 사회제도로 인해 빚어지고 있는 안전위협이면, 신중한 논의과정을 통해 시급한 개선책이 나와야 할 것이다. 도민들이 더욱 불안해 하는 점은 관광객 2천만시대라는 핑크빛 전망 아래 도사려 있는 범죄의 천국이 될 것이라는 어두운 그늘이다. 하루아침에 그 걱정을 말끔히 걷어낼 수 없는 만큼, 현실진단과 함께 대책마련, 도민의 생명을 담보해낼 수 있는 안전관리 매뉴얼 갖추기에 이제 당장 나서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