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근혜 국정농단 시대를 거치면서 단절되었던 남북간 대화가 정상화의 길로 갈 수 있을 것인지, 한반도 비핵화를 통한 평화 정착이 가능할지 갈림길에 들어섰다. 구실은 ‘북한 참가를 통한 평창 평화올림픽 개최’였으나 10년 가까이 관계 단절 상태에서 가까스로 열린 남북 고위급 회담이었기에 국민적 관심과 기대는 무척 컸다.

우리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장관의 말마따나 “이번 회담이 남북관계를 복원·발전시켜나가는 데 있어 중대한 의의를 가지며, 앞으로 상호존중을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진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했다”는 것은 드러난 그대로이다.  

북측 수석대표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이 낭독한 공동보도문 내용을 옮기면, △평창 겨울올림픽과 패럴림픽의 성공적 진행을 위해 적극 협력 △군사적 긴장 완화 등 평화 환경 마련을 위해 공동노력 △남북선언을 존중하고, 한반도 문제의 당사자로서 대화와 협상을 통한 해결 등이다.

이와같은 합의는 북한이 평창올림픽에 고위급 대표단과 민족올림픽위원회 대표단은 물론 선수단과 응원단, 예술단, 참관단, 태권도 시범단, 기자단 등을 파견하기로 하고 남측은 필요한 편의를 보장한다는 사실을 뛰어넘어 한반도 평화로 가는 전환점이 될 수 있다는 기대를 갖게 한다.

무엇보다 국민들이 반기는 것은 남북간 해빙, 한반도 긴장완화의 징검다리를 놓았다는 점이다. 지난 2007년에 노무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일 위원장이 합의한 10‧4 남북공동선언의 과제를 이행할 수 있는 전기로서도 무척 유의미한 일이라 하겠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기자회견을 통해 “제 임기 중에 북핵문제를 해결하고 평화를 공고하게 하는 것이 저의 목표”라고 밝혔다. ‘한반도의 평화정착’이 곧 국민의 삶을 평화롭고 안정되게 할 수 있는 명제라는 의미이다. ‘꽉 막혀있던 남북 대화 복원’에 방점을 찍은 남북고위급회담 평가는 대화의 물꼬를 어떻게 발전적으로 확대 재생산해내느냐 하는 점이 관건이 될 것이다.

‘주목할만한 돌파구’(CNN), ‘갑작스럽고 극적인 변화’(BBC), '긴장 고조 이후 나온 조심스러운 외교적 돌파구'(가디언)라고 타전한 외신들이나 ‘국제사회 제재를 약화시키려는 북한의 시도’(AP,블룸버그)라는 평가도 재삼 새기면서 남북대화와 교류를 차질 없이 진행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향후 대응이 더욱 중요하다 “(남한의) 여야, 각계각층 단체 및 개별 인사들을 포함하여 그 누구에게도 대화와 접촉, 왕래의 길을 열어놓을 것”이라는 북측의 발언에서 남북간 긴장완화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유지가 이뤄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