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는 이미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를 잡았다. 올해 5월말 기준 서귀포 지역 등록 자동차는 11만355대다. 서귀포 지역 인구가 19만2214명인 것과 세대수가 8만8955세대인 것을 감안하면 0.57명당 자동차 1대, 1세 대당 1.24대의 자동차를 보유하는 셈이다. 외국인을 제외한 내국인을 기준으로 서귀포 지역 0세~19세 인구는 3만68명, 80세 이상은 4만1350명인 것 등을 감안하면 20~79세 서귀포 시민 0.75명당 자동차 1대를 보유하는 셈이다.

서귀포 지역 주차난은 심각한 상황이다. 렌터카 등도 가세하면서 주차난은 가중되고 있다. 행정은 주차난 해소를 위해 자기차고지 갖기 사업, 차고지 증명제, 불법 주정차 단속 등을 추진하고 있다. 주차빌딩도 짓고 있다. 주차빌딩은 토지 매입비에 건축비 등을 감안하면 주차 공간 1면당 수천만원에서 1억원 가량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외에도 공영노외주차장, 공한지 무료 주차장 등 주차장 확충에 행정력을 쏟아붓고 있다.

하지만 시민 입장에서는 주차 공간을 찾는 것이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주차 전쟁’이란 말까지 나오는 게 현실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주차장 만들어 달라” “주차할 곳은 없는데 단속만 하면 어떻하느냐” 등 주차와 관련된 민원이 끊이지 않는다. 행정이 수십억원, 수백억원을 들여 주차장을 조성한다고 하더라도 시민 모두가 편안하게, 원하는 곳에 자동차를 세우기는 어렵다.

자동차는 생활필수품이다. 내가 필요해서 자동차를 사지만, 내 자동차를 세울 곳은 행정이 만들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하다. 행정이 아무리 공영주차장을 조성하더라도, 유료 공영주차장은 붐비지 않는다. 대신 공영주차장 주변과 공한지 무료 주차장은 그렇지 않다.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아무렇지도 않고, 내 자동차를 세우기 위해 돈을 내는 것은 아깝다는 인식 때문일 것이다. 

자동차를 세우면 비용을 내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자기차고지 갖기, 차고지 증명제 등의 적극적인 동참과 부설 주차장 활용 등 시민이 할 수 있는 것은 해야 한다. 자동차 유지비용은 유류비와 수리비, 보험료 이외에도 주차료가 포함되는 것을 당연히 여기는 분위기 조성이 절실하다. 행정도 최대한 주차 공간을 확보하고, 주차회전율을 높일 방안을 마련해 주차장 부족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