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귀포시가 교육문제 해결을 위해 발 벗고 나섰다. 민선 5기 들어 비관료 출신으로 처음 시장을 맡은 40대의 약관 고창후 시장이 교육문제를 역점시책으로 내세워 정면돌파를 선언했다. 서귀포시 교육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하고, 민관이 공동 참여하는 교육발전 포럼을 만들어 지난 5일 첫 토론회도 가졌다.
향후 추진과정이야 어떻든, 서귀포시가 모처럼 교육문제 해결에 의욕적으로 나선 것은 만시지탄의 감이 있다. 역대 시장들은 줄곧 취임사에서 ‘교육 명품도시’를 언급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휴지조각이 되고 말았다. 외국대학 유치나 혁신도시 내 명문고 유치 등을 떠들썩하게 시도했으나, 별다른 성과 없이 시민들에 실망만 가득 남겼다.
현재 서귀포시가 처한 교육문제는 위정자들이 느끼는 것 이상으로 심각하다. 무엇보다 제주시와 서귀포간 교육격차가 갈수록 벌어지고 있다. 서귀포 지역 우수 학생들이 매년 제주시 고교로 진학에 나서면서 가족전체가 동반 이사하는 사례가 연간 600~700명에 달하고 있다 한다. 읍면지역 고교마다 일부 제주시 학생들이 역류하고 있음에도 정원미달은 여전하고 통학불편 문제도 예사롭지 않다.
우수교사 확보문제도 우려할만한 수준이다. 교사들부터가 서귀포시 근무를 기피하는 풍조가 만연하다. 매년 도의원과 교육의원 선거마다 여러 후보들이 우수교사 확보를 위한 인사상 인센티브 제공을 내걸지만, 형평성 문제로 실현은 요원하다.
이런 면에서 서귀포시가 최근 교육문제 해결에 나서면서 인구감소 원인을 열악한 교육환경 탓으로 인식한 것은 타당한 판단이라 본다. 종전에는 교육문제를 도교육감 소관으로 돌려 다소 뒷짐 지는 자세였으나,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시각을 넓힌 것은 충분히 공감대를 얻고 있다. 고질적인 현안에 대한 해법 마련을 위해 학부모와 일선 교사 등 교육 당사자들을 대거 끌어들인 것도 수긍이 가는 대목이다.
다만, 시가 수립한 교육발전 5개년 계획에는 새롭고 획기적인 실천과제는 눈에 띄지 않고 종전 내용을 답습한 경향이 있어 다소 아쉬움으로 남는다. 계획 추진을 위한 향후 5년간 100억 기금 조성방안 또한 구체적 재원조달 방안이 없어 성사 여부에 의구심을 품게 한다.
서귀포시가 시민들의 이 같은 우려와 의혹을 걷어내, 교육문제로 인해 더 이상 인구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가시적 성과를 도출해 내길 진정으로 당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