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국민의 역량을 모아 세계 7대자연 경관 선정에 도전하는 제주도정의 환경보전 의지가 시험대에 오르고 있다. 민선 5기 제주도정이 ‘선보전 후개발’ 원칙을 내세우고 있음에도 일부 대기업들에 의한 중산간 난개발 조짐이 고개를 들고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서귀포시 색달동에 추진 중인 제주롯데리조트 2차 개발사업이다.

 롯데리조트 개발사업은 2015년까지 해발 약 400~500m의 중산간 상층부의 133만8000㎡ 부지에 사업비 3010억원을 투자해 고급콘도와 호텔 등을 조성하려는 사업이다. 문제는 전체 사업부지의 92%가 국․ 공유지란 점. 중산간 일대 국․ 공유지가 어떻게 특정기업의 관광개발 사업용지로 제공되는지 특혜의혹이 끊이지 않고 있다. 사업예정지 일대가 생물권보전지역 완충지역임에도 전임 도정 시절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사업승인 절차를 진행시킨 과정도 여전히 석연치 않다. 

 롯데리조트 개발사업은 현재 도의회 환경영향평가 동의와 도유지 매각 등을 위한 공유재산 관리계획 승인 절차만을 남겨둔 상태다. 일각에서는 개발사업 완료 시 콘도와 상가분양 등을 통해 투자액의 갑절에 달하는 엄청난 수입을 올릴 것이란 분석도  있다. 최근 지역주민들은 지하수 고갈과 곶자왈 훼손 등을 우려하며 반대 움직임에 나서고 있어 향후 도의회 처리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서홍동 지역에 대규모 리조트를 건립하려는 사업에 대해서도 지역주민들이 1년여에 걸쳐 반대하고 있다. 지하수 고갈과 토사유출, 농약피해 등을 우려하며 대기업의 일방적 사업추진에 반대를 굽히지 않고 있다. 친환경 농촌개발과 자립형 에너지사업을 추진 중인 표선면 가시리에도 체류형 복합관광단지 건설이 추진되면서 논란 요인이 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제주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도내 환경단체가 대정읍 일대에 조성 예정인 생태공원 사업구상에 공동보조를 취해 눈길을 끌고 있다. 그동안 곶자왈 개발과 보존문제로 대립각을 세웠던 행정과 환경단체가 모처럼 곶자왈의 난개발 예방차원에서 도립공원 지정 노력에 한마음 한뜻이 된 것은 무척 고무적이다.

 때마침 민선 5기 도정 출범에 맞춰 제주도 환경 도시정책을 좌우하게 될 환경영향평가위원회와 도시계획위원회가 새롭게 구성됐다. 제주도정의 ‘선보전 후개발’ 원칙에 맞춰 환경과 도시정책을 투명하게 수립하겠다는 제주도정의 위원회 구성방침이 제대로 지켜지길 기대해 본다. 그런 점에서 각종 의혹에 휩싸인 롯데리조트 개발사업 처리과정이 어떻게 진행될지 도민들은 도정과 도의회의 행보에 예의 주시하고 있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