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 감사위원회의 새로운 수장에 도지사 측근 인사가 내정된 것을 두고 뒷말이 무성하다.
민선 5기 도정이 출범한 지 1년을 앞둔 시점에서 행정시장과 부지사, 도 산하 주요 기관단체장들이 도지사 측근이나 지방선거 관여 인사들로 대부분 채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전국적으로 제주자치도에만 도입된 감사위원회는 어느 기관보다 독립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는 기관이란 점에서 수장의 측근기용은 부적절한 인사란 지적이 많다.
그동안 제주도민들은 민선시대 개막과 더불어 도지사 선출 과정에서 공직사회는 물론 도민사회 전체가 대립과 갈등양상으로 점철된 사례를 지켜봐 왔다. 격동의 선거과정을 한바탕 치른 후, 신임 도지사는 취임 석상에서 도민 대통합과 도민 화합을 목소리 높여 외쳐댄다. 하지만 취임식 직후 단행하는 공무원 정기인사에서 현직 도지사 측근들은 중용하고 전직 측근들은 변방에 몰아낸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는 미국의 오바마 대통령이 민주당 대선후보 선출과정에서 경쟁을 벌였던 클린턴 후보를 취임직후 요직인 국무장관에 발탁한 사례를 감동적으로 지켜봤다. 중국의 주룽지 전 총리가 재임기간 중 자신의 친 인척을 비롯한 측근인사를 철저히 배척한 것도 익히 알고 있다. 진정한 도민 통합을 위해서는 도정에 대한 충성 못지않게 도민들이 공감하는 인재를 발굴 기용하려는 노력이 아쉽게 느껴지는 대목이다.
특별자치도 출범으로 자치권을 읽게 된 서귀포시로서는 시민들의 정치적 입지가 갈수록 좁아드는 양상이다. 젊은 세대들이 사회변혁과 정치적 야망 실현에 관심이 있더라도 기초의회가 사라져 버려, 그 꿈을 펼치기가 쉽지 않다. 모처럼 도내 주요 기관의 단체장을 맡은 인사들도 도정이 바뀌면서 주어진 임기를 채우지 못한 채 도중하차 하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행정시장의 임기도 보장되지 않아, 공직사회 기강확립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시관내 주요 기관단체장이나 주민자치위원 선출 과정에서도 정치적 입김이 휘둘린다는 지적도 계속 제기되고 있다.
지금과 같은 시대 추세라면 정치적 출세를 꿈꾸는 시민들은 자기연마에 충실하기보다, 지방선거 캠프에 참여하는 기회를 호시탐탐 저울질 할 지도 모를 노릇이다. 4년마다 펼쳐지는 지방선거가 축제 한마당이 아니라, 시민 갈등과 대립의 악순환 역할을 면키 힘들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의회와 더불어 제왕적 도지사의 권한을 견제할 수 있는 감사위원회 수장에 측근 인사 기용방침은 분명 재고돼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