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의원 선거일이 한 달 앞으로 코앞에 닥쳐왔다. 이번 411총선을 앞두고 서귀포시 선거구에서는 도내 선거구에서 가장 많은 8명의 예비후보가 등록하며 치열한 접전이 예고됐다. 예비후보의 면면 또한 전-현직 국회의원을 비롯해 전직 도의회 의장, 시장, 대학교수, 정당인 등 굵직한 인사들이 많아 시민은 물론 전체 도민들의 관심 높은 지역으로 분류돼 왔다.
최근 정치권에서 여야 각 정당별로 공천 윤곽이 드러나면서 서귀포 선거구에는 현재 3명의 후보로 압축된 상태다. 강정마을회에서 이명박 정부와 새누리당 심판, 강정 해군기지 문제해결을 위해 범야권 후보 단일화를 요구함에 따라 앞으로 후보들 간 협상여하에 따라 2파전으로 좁혀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범야권 후보들이 저마다 이번 총선의 최대 쟁점으로 해군기지 문제해결을 공약한 까닭에서다.
사실 이번 총선은 해군기지 구럼비 발파가 불거지고 전국적 이슈로 부각되면서 다소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치러지고 있다. 정부의 일방적인 해군기지 공사강행으로 다수의 주민과 활동가, 심지어 종교인들에 대한 무차별 연행이 이뤄지면서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정치권에서도 재차 해군기지 문제가 쟁점사안으로 떠오르면서 이번 총선이 해군기지의 향방에 바로미터가 될 전망이다.
정당별 후보 공천과정에서 매끄럽지 못한 처리절차를 두고 아직까지 책임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당초 국민경선 참여를 내건 민주통합당에서 현격한 지지율 격차를 이유로 단수 후보를 공천하자 일부 후보들이 이에 불복하며 무소속 출마로 선회하며 후유증이 만만치 않다. 여당인 새누리당 역시 후보자 공천이 뒤늦게 확정되면서 한 때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어쨌거나 이번 총선이 눈앞에 닥쳐왔으나 대외적으로 여러 변수들이 돌출하는 바람에 건전한 정책 대결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모처럼 젊은 후보들의 대거 등장과 모바일 투표 도입방침으로 획기적 이벤트가 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단수후보 공천으로 아쉽게 성사되지 못했다. 유권자인 시민들의 이번 총선에 대한 관심도 점차 멀어져가는 느낌이다.
주지하다 시피, 이번 총선에서 서귀포시는 해군기지 외에도 한미 한중 FTA 협정, 신공항 유치, 기초자치 부활, 지역 균형발전 등 산적한 현안들을 거느리고 있다. 하나 같이 시민들의 일상과 깊은 연관이 있는 현안들이다. 앞으로 얼마 남지 않은 선거기간 동안 후보들 간 다양한 해법제시와 열띤 토론을 통해 정책대결의 장이 펼쳐지길 기대한다. 유권자들을 다시 축제의 마당으로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더 이상 책임공방이 아닌, 서귀포의 미래비전을 위한 청사진 제시노력이 서둘러 뒤따라야 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