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9대 국회의원 선거가 6일 앞으로 코앞에 다가섰다. 서귀포시 선거구의 경우 국회의원 선거와 함께 대정읍 도의원 보궐선거도 동시에 치러진다. 오는 12월 치러지는 대통령 선거 전초전 성격의 이번 총선에는 정치권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기 위한 사활을 걸고 나섰다. 하지만 3파전으로 치러지는 서귀포시 선거구에는 뚜렷한 현안이 없이 후보들 간 정책대결을 펼치고 있어 선거 열기는 차분한 편이다.

야당의 후보공천 과정에서 다소 잡음이 있었지만, 공식 선거운동이 시작되면서 선거전은 예전의 흑색선전이나 상호 비방 없이 비교적 질서 있게 전개되고 있다. 시민들의 일상을 짜증나게 만드는 소음이나 유력 인사들을 동원한 세 과시 경쟁도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불법선거에 대한 견제 감시에 대한 홍보가 확산되면서 예년의 선거전과는 사뭇 딴판의 건전한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다.

여당과 야당, 무소속 후보가 겨루는 이번 서귀포시 총선에선 주요 현안과 쟁점에 대해 후보들의 해법이 제각각이어서 관심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 지역 최대 현안인 해군기지에 대해 여당 후보는 ‘예정대로 추진’, 야권 후보는 ‘전면 재검토’ 등으로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한미 FTA 협정, 기초자치권 부활 등에 대해서도 후보자들 간 적지 않은 이견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비해 신공항 유치, 산남 산북 균형발전, 특성화 대학 유치 등 또 다른 현안에 대해서는 후보들의 공약이 비슷한 편이다. 관광산업 발전과 교육 의료 기반 확충, 문화예술, 사회복지, 청정 환경 등에서도 일부 공약을 제외하고는 차별화된 공약이 눈에 띄지 않는다. 얼마 남지 않은 선거운동 기간 아직 후보를 결정하지 못한 부동층에서 각 후보의 공약에 대한 꼼꼼한 비교검토가 요구되고 있다.

주목할 것은 서귀포시가 총선을 앞두고 시정의 주요 현안을 중심으로 15개 정책과제를 제시해 각 후보들에게 총선공약으로 채택하도록 요구한 점이다. 이번 총선을 시정 발전의 계기로 연계시키려는 적극적 행보가 돋보인다. 총선 후보들도 정책과제를 자체 분석하며 새로운 정책공약 개발의 계기로 삼고 있다는 평가다. 선거 중립만 강조하며 가급적 총선 분위기에 휩쓸리지 않으려는 종전의 관행에서 벗어나, 여타 지자체에도 수범사례가 될 듯하다.

새로운 선거문화 분위기가 움트고 있는 이번 총선에서 남은 기간까지 정책대결 위주의 공정 선거 기조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더 이상 상호 비방이나 편 가르기 등으로 선거 이후에도 적잖은 후유증을 초래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과감히 내팽개쳐야 한다. 더불어 총선 열기의 그늘에 가려진 대정읍 도의원 보궐선거에도 유권자들의 관심이 모아지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