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해군기지 해법방안을 놓고 정부와 제주도, 도의회, 강정마을 등이 제각기 다른 입장을 취하고 있어 해결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국회가 제주해군기지 해결의 돌파구로 민․ 군 복합형 관광미항이란 카드를 제시했지만, 정부와 해군은 해군기지를 강행하려는 자세를 굽히지 않고 있다. 말로는 민․ 군 복합형 관광미항을 내세우면서도 국책사업을 이유로 일방적으로 해군기지 성격의 공사를 계속 진행시키고 있다.
 
 제주도와 도의회 역시 해군기지 해법에 대해 뚜렷한 시각차를 드러내고 있다. 해군기지 해법 모색을 위해 지난 21일 열린 도의회 ‘원포인트’ 임시회 결과가 이를 뒷받침한다. 우근민 지사는 제주해군기지가 민․ 군 복합형 쪽으로 공사가 전환되고 있는 만큼 지방정부에서 시뮬레이션 검증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제시했다. 우 지사는 아직 공사 중지 결정을 내려야 할 이유도  발견치 못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여소야대’로 구성된 도의회의 입장도 아직까지 뚜렷한 가닥이 잡히지 않는 느낌이다. 무엇보다 새누리당은 이번 임시회에서 당초 예정된 대표의원의 도정질문을 취소하고 의원 전원이 불참해 도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고 있다.  도정의 최대 현안인 해군기지 문제에 대해 새누리당 의원들이 발뺌을 시도하는 것은 어떤 이유로든 납득하기 힘들며, 직무유기라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민주통합당을 비롯한 야당 의원들은 당초 국회 의결대로 민․ 군 복합형 관광미항 쪽으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무늬만 관광미항일 뿐 해군기지에 가깝게 추진되고 있는 만큼 제주도에서 정부 방침에 선뜻 동조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높다.

 강정마을회와 범도민대책위원회 등은 절차상 하자와 법적․ 제도적 문제를 들어 여전히 해군기지 전면 무효와 공사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다만, 현재 추진 중인 공사가 해군기지인지, 민․ 군 복합형 관광미항인지 성격을 규정하기 위해서라도 공사 중단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중앙정부가 해군기지의 조속한 완공에만 올인하는 마당에 여지껏 제주도와 도의회 등 도민들이 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음은 안타까운 일이다. 연말 대선을 앞두고 최근 국회 차원에서 특별위원회 구성 움직임이 있고, 대선에서도 해군기지 문제가 주요 쟁점으로 부각될 전망이다. 이미 지방정부의 손을 떠난 해군기지 사안은 대선주자들에 의해 공론화 과정을 거쳐 운명이 정해져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민․ 군 복합형 관광미항이 해군기지로서  잘못 틀이 잡히지 않도록 일단 지방정부 차원에서 공사 중지에 역량이 모아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