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 감사위원회가 지난 4월부터 5월까지 10일간 실시한 제주자치도에 대한 종합감사 결과가 최근 공개됐다.
이번 종합감사에서는 총 114건의 지적사항이 적발되면서 관련 공무원 15명에 대한 문책과 28건 9억3400여만원에 대한 재정처분 요구가 내려졌다. 최근 공무원 비위사건으로 사회적 물의가 빚어진 가운데 공무원의 근무기강 사례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나, 도민들의 따가운 눈총을 면키 어렵다.
이번 감사에서는 행정시인 서귀포시는 감사대상에서 제외됐으나, 서귀포시 지역과 행정에 관련된 지적사항이 많은 편이어서 시민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무엇보다 각종 관급공사와 관련된 공사액 과다지급과 하자보수 계약위반이 상당수에 달하고 있어 각종 공사과정에서 투명성 확보가 요구되고 있다. 관련 공무원들의 업무지식 부족과 도덕성 결여도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무엇보다 서귀포시 종합문예회관의 공사지연과 예산낭비 사례는 시민들을 실망케 하고 있다. 종합문예회관 건립은 시민들의 숙원으로, 전임 도정에서 첫 삽을 뜬 뒤 지금까지 뚜렷한 공사 진척이 없는 편이다.
여기에다 지하층 골조공사와 기상악화 등을 이유로 공사기간이 연장되고 감리 예산이 추가되면서 시공업체 관계자에 대해서도 추궁조치가 취해졌다. 공사지연과 예산확보 문제는 지난 7월 우근민 도지사의 현장 방문에서도 지적사항으로 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이번 과정을 지켜보는 시민들은 문예회관 건립사업이 과연 언제 마무리될지 애를 태우고 있다. 당초 2009년 1월 착공한 이후 내년 7월 완공할 예정이지만, 그동안 4차례에 걸쳐 공사계약이 변경되는 등 차일피일 공기가 늦춰지고 있기 때문이다. 전임 도정이 착수한 사업이어서 사업추진에 관심이 미흡하다는 오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철저한 관리감독이 요구되고 있다.
뚜렷한 인사기준 없이 서귀포시 공무원 4명을 근무지원 형태로 장기간 도 본청이나 사업소에 근무하도록 명한 것도 도마 위에 올랐다. 서귀포시엔 장기간 결원 보충이 이뤄지지 않아 행정 처리에 애로가 뒤따랐고, 파견 직원들의 사기도 저하될 수밖에 없었다.
종전의 민선체제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도 본청 위주의 행정처사라 할 수 있다. 공무원에 대한 불신이 점차 팽배해지는 현실에서 민원인 서비스 확대보다 행정편의에만 급급한 공직기강이 자취를 감추는 것은 언제가 될지 사뭇 걱정스럽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