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8대 대통령선거 공식 선거운동이 27일부터 시작되면서 서귀포시에도 선거 열기가 점차 고조되고 있다. 이번 대선이 사실상 새누리당과 민주통합당의 2파전으로 압축되면서 선거운동 첫날부터 기선제압을 위한 두 정당의 힘겨루기가 예사롭지 않다. 지난 3차례 총선을 승리로 이끈 민주통합당의 수성과 10여년 만에 새로운 깃발을 꽂으려는 새누리당의 반격이 점차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선거에서 이기는 후보가 그동안 대선과 총선에서 승리했던 사례에 비춰볼 때, 향후 대선과정과 결과에 벌써부터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제주해군기지 문제가 지역의 최대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주민 갈등과 도민 분열이 여전한 데다, 정부가 당초 민군복합형 관광미항 대신에  해군기지로 일방 추진하는 것으로 드러나면서 문제해결의 전망은 오리무중 상태다. 여기에다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28일 내년도 제주해군기지 예산을 정부원안으로 통과시키면서, 야당과 강정주민 등이 ‘날치기 처리, 원천무효’를 주장하고 있다. 최근 제주지역 교수협의회에서도 해군기지 공사 중단과 새 정부에서 재논의 등을 요구하고 나섰으나, 계란으로 바위치기 격이다.

지난 4월 총선에서도 제주해군기지가 한 때 전국적 사안으로 부각되고 몇 차례 토론자리가 마련되면서 뚜렷한 결론 없이 찬반 논란이 들끓은 바 있다.  하지만 총선 이후 민군복합형 관광미항은 허울일 뿐, 정부의 일방적인 해군기지 건설이 드러나고 있으나 정부의 일방통행은 멈추지 않고 있다. 이번 대선에서도 해군기지 문제가 안보논리 등에 파묻혀 본질을 벗어나 변질만 울리지 않을까 심히 우려되는 바이다.

제주 신공항 건설도 지역의 미래를 좌우할 중대 사안이나, 이번 대선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는 느낌이다. 각 후보들이 섣부른 공약으로 지역갈등을 부추기지 않으려, 신공항 문제에 대해 신중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럴 때일수록 신공항 건설만큼은 제주지역에서 여야가 한목소리를 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 외 국제자유도시 건설이나 영어교육도시 성공 추진, 행정체제 개편 등 지역 현안에 대해서도 대선 후보들을 압박하는 방안을 찾아나서야 한다. 가뜩이나 중앙정부에 소외를 당하고 있는 제주도가 당리당략에 따라 쪼개지는 우를 범해서는 안 될 것이다. 비록 농번기에 접어들었으나 시민들도 이번 대선에 각별한 관심을 갖고, 공명선거를 치르면서 지역의 정치수준이 한 단계 성숙하는 계기로 발전되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귀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