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4일 실시하는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지난 21일부터 도의원 및 교육의원선거 예비후보자 등록이 시작됐다. '예비후보자' 제도는 공식 선거운동기간 전 제한된 선거운동을 펼칠 수 있어 정치 신인이 자신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된다. 2일 현재까지 제주도지사에는 6명, 도교육감 선거에는 7명의 예비후보가 등록을 마친 상태다. 서귀포시 도의원 선거에는139명이 예비후보로 등록했다. 다만, 존폐 논란에 휩싸였던 교육의원 선거에는 아직까지 예비후보 등록이 한 건도 없는 상태다.
이번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귀포시에서는 예년과 달리 뚜렷한 현안이 눈에 띄지 않는 편이다. 8년 째 도민사회 쟁점이었던 해군기지 문제는 공동체 붕괴와 주민갈등 해소 문제가 여전한 데도 누구 하나 발 벗고 나서려 하지 않는다. 지역 불균형 문제도 선거 때마다 단골 이슈였지만, 최근 의료와 교육부문의 집중투자 여파로 시민들의 불만이 다소 누그러진 느낌이다. FTA 체제에 따른 1차 산업 위기가 ‘발등의 불’이 되고 있지만, 속 시원한 해결책은 아직 보이지 않는다.
행정시 도입 이후 시민들의 정치적 소외는 갈수록 깊어지고 있지만, 획기적 변화 없이 행정시 기능강화 등으로 변죽만 울리고 있다. 민관이 하나 돼 명품 교육도시 육성에 매달리고 있으면서도 15만 인구에 대학이 하나도 없는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서귀포항은 14년째 뱃길이 끊기면서 신축 대합실이 벌써 녹슬고 있어 새로운 활력이 필요한 상태다. 농촌‧ 도시 할 것 없이 중국 자본에 의해 부동산이 야금야금 매각되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번질 조짐이다.
인구 고령화가 갈수록 심각하고 부동산 건축경기가 때 아닌 호황을 누리고 있는 시점에서 서귀포시의 미래가 어떻게 펼쳐질지는 누구도 선뜻 장담하기 어렵다. 도시에서는 관광객 증가로 상권에 활기가 도는 반면, 농촌에서는 밭작물 몰락 등으로 농민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전국 최고의 고용실적 이면에는 전국 최고 수준의 비정규 취업이란 불안정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흔히들 급변하는 시대 흐름에 적극 대처하려면 미래를 내다보는 지도자의 안목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말한다. 이번 지방선거야말로 서귀포의 미래를 올바로 이끌어 갈 지도자를 선택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지금처럼 어정쩡한 상태에서 벗어나 서귀포시가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이 이뤄지도록 유권자들의 현명한 판단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번에야 말로 지연‧ 학연‧ 혈연을 떠나 진정한 지역발전을 위해 앞장 설 일꾼들을 제대로 뽑아야 할 것이다.

